Undergraduate

All Semesters

학기 중 작품

[건축설계(6)] 허윤석 | Cosmos[Cooperation of Studies & medley of students] / Hongik Univ Library Renovation
  • 2020-2학기
  • 건축설계(6)
  • 지도교수 : 이진미, 엄범섭
  • 작성일  2021-04-10
  • 조회수  12202

 

 

도서관이라는 공간에서 어떤 것이 가장 큰 의미를 두고 있는지를 주요하게 생각하여 Project를 진행하였다. ‘은 여러시대 걸쳐오면서 인류의 지식공유 및 전달, 기록 등의 행위를 표현해주는 도구이면서 새로운 문화와 패러다임을 제공하였고 도서관이라는 공간을 형성하였다.

변화하는 시대에서 ‘E-book’ 또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장소와 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사람들은 다양한 지식과 필요로 하는 것에 접근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필요없는 것들은 사라지고 최대한 효율적이고 최소한의 요소들을 필요하게 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공간이 그에 맞게 생겨야 한다고 생각했다.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여러문제점 중 가장 크게 Focusing을 한 부분은 매 층마다 빼곡히 적재되어있는 책들과 답답한 공간들이 도서관을 쾌적하게 하지 못한다는 점과, 대학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도서관이 위치적으로 숨겨져있고 접근성, 입면성 등이 개선이 필요해보였다.

 

그에 대한 Renovation Plan으로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은, 정면부에서 보았을 때 학생회관의 내부 시설과 현재 쓰이고 있는 시설 중 축소할 수 있거나 다른 장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Program 을 파악하여 1-3F의 일부를 축소시켜 Library Main Entrance를 만드는 것이 시작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공간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적재되어 있던 책을 System machine 을 이용한 Bookbot으로 효율적으로 적재를 하되, 그것을 건축 및 공간적으로 어떻게 표현을 할 지가 Project에서 큰 과제였다.

현재 Bookbot을 사용하고 있는 여러 Library는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나머지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을 넓고 쾌적하게 사용하며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시켜서 사용하고 있지만, 그런 산업적 시스템이 공간과는 잘 어울리지 못한 모습이었다고 생각을 하였다.

Project에서는 Bookbot 이 다니는 Rail을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간의 전이공간에 위치시켜 Gate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식의 전달 및 정보의 이동을 공간적으로 표현을 하였고, 전이공간을 지나고 개별 실 및 공간에서는 학생들의 협업 및 전시 또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Program 등을 배치하였다.

입면은 그런 책의 흐름을 외부에서도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표현하려 하였고, Core 및 주요 동선은 간결화 및 비움으로서 전이공간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