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수수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파빌리온을 설계하였다. 옥수수는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를 설계에 반영하여 공간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특징은 옥수수 알갱이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점이다. 옥수수알은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줄을 이루어 배열되는데, 이 과정에서 축을 따라 점진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두 번째 특징은 옥수수 알갱이의 크기와 배열 방식에 있다. 아래쪽의 알갱이들은 크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알갱이의 크기는 점차 작아지고 배열은 더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불규칙성과 점진적인 규칙성은 줄이 분화되거나 병합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현상으로, 옥수수의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을 반영한 결과다.
이러한 옥수수의 특징을 토대로 파빌리온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먼저 두 개의 주요 유닛을 상정하였다. 이 유닛들은 알갱이 한 줄의 나선형 배열을 시각화하여 서로 휘감겨 올라가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알갱이 배열의 불규칙성이 새로운 줄이 파생되거나 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파빌리온의 구조 또한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때, 사람들의 동선과 파빌리온 내부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공간들에 대한 스터디가 함께 진행되었다. 하부에서 두 유닛이 겹치며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고, 두 유닛이 미묘한 각도로 틀어지며 서로 마주보거나 내려다보는 공간이 형성되어 동선이 복합적으로 구성된다.
파사드의 테셀레이션 구조는 옥수수의 알갱이 배열을 시각적으로 더욱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요소다. 유닛의 볼륨을 다각형으로 세분화하여 옥수수 알갱이의 배열 방식을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파빌리온 하부는 크고 불규칙한 다각형의 형태를 띠며, 이는 옥수수 알갱이의 크고 불규칙한 초기 배열을 반영한 것이다. 이 다각형들은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며, 배열이 더 규칙적이고 균일한 형태로 변모한다. 결국 파빌리온의 가장 상부에 이르면 작은 삼각형의 조각들이 트러스 구조와 유사하게 배열되어, 전체적인 공간의 안정감을 더해준다.
옥수수의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이번 과제는, 옥수수 알갱이의 나선형 배열과 크기 및 배열의 점진적인 변화를 공간적 형태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옥수수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오브제를 설계함으로써, 자연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질서와 혼돈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이고 공간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