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aduate

All Semesters

학기 중 작품

[건축설계(7)] 황윤환 | RIVERCOME
  • 2024-1학기
  • 건축설계(7)
  • 지도교수 : 박혜리, 천경환
  • 작성일  2025-01-15
  • 조회수  438

 

 

 

 

 

 

 

 

 

 

 

 

 

 

 

 

 

 

 

 

 

 

 

 

 

 

 

유수지를 극복하다. 사이트는 반포지구 1단지 중 가장 코너대지에 위치한다. 기존 반포지구의 개발 계획안들은 한강을 극복하는 시도들을 주로 해왔다. 하지만 반포 주민들의 유년 기억이 담겨있는 반포천에 대한 접근 및 개발은 하지 않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RIVERCOME 프로젝트는 세가지 목표를 가진다. 1. 한강과 반포천이라는 공공자연을 사적단지로 끌고온다. 2. 단지내 GROUND LEVEL 뿐 아니라 포디움부의 옥상까지 자연의 접근이 가능한 공공대지로 계획한다. 3. 기존의 단지 내 흐름이 ‘동-서’ 로 흘렀다면 매싱을 통해 ‘남-북’으로 흐름을 형성한다. WEAVING STRUCTURE WITH HOUSING UNIT 남측과 북측은 각각 한강과 반포천을 대지내로 끌고 오기위한 인공대지가 형성된다. 인공대지는 완만한 경사지이며, 하부 구조체는 완충녹지에 최대한 위치한다. 구조체가 커지면 실내공간으로 이용된다. 저층부는 콘크리트 구조를 통해 인공공원과 구조적 연결성이 있다. 고층부는 목재 구조이며 6M*6M*4M가 하나의 모듈 단위체가 되어 서로 다른 조합을 통해 여러 주거 유닛이 형성된다. 모듈 단위체의 슬라브, 내벽, 외벽은 모두 같은 크기로 존재하며 이는 가변성을 띄는 주거형태를 수용한다. 전체 구조는 WIRE로 상부에서 지지된다. ELEVATION 기본 입면계획은 저층부의 콘크리트와 상층부의 목재가 대비되는 형상이며, 와이어가 노출되어 구조적 심미성을 더한다. 앞서 언급한 목재 모듈 단위체의 외벽부분은 내벽,슬라브와 다르게 모듈의 절반크기 (3M)로 존재하여 4가지 VARIATION을 가진다. (VOID-유리 , SOLID - 목재, HALF SOLID - 반 목재 반 유리, ZERO - 테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