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e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논문] 이초원 | 현대적 의미의 장소성을 적용한 복합 커뮤니티시설 특성 연구
  • 2020-2학기
  • 지도교수 : 이원석
  • 작성일  2021-05-24
  • 조회수  156429

 

본 연구는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의 붕괴와 장소성의 상실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적 의미의 장소적 특성을 적용한 복합 커뮤니티시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축에서 장소는 커뮤니티의 논의와 함께 다루어진다.

장소는 건축적 접근을 다루고 있다면 커뮤니티는 사회학적 측면에서의 논의을 다루고 있다. 즉 인간은 장소를 통해 커뮤니티와 교류하며, 장소는 사람들을 모으는 수단이다. 건축학에서 말하는 장소성이란 제한된 경계를 지닌 공간 또는 토지이며 일정 행위 또는 사건이 일어나며 특정한 경험이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라 정의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장소는 교통의 발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차 상실되어가고 있다는 주장을 자주 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장소성이 상실되어가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서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고 바라보았다.

커뮤니티와 장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현대적 의미의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복합 커뮤니티시설의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장소성의 요소는 새로운 장소성을 도출한 선행연구와 기존의 장소성의 요소를 바탕으로 종합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확장성과 복합성을 가지는 ‘초시공간성’, 모호성과 가변성을 지니는 ‘유기성’, 커뮤니티의 개인적, 집단적, 사회적 요소가 혼재된 ‘다의성'으로 재정립 하였으며 각 요소의 특징은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재해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통적 장소성이 아닌 새롭게 재편된 장소성 요소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닐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성공적으로 기능 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이 계획·고려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ixed-use community facilities that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applied through modern interpretation to solve the collap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loss of placeness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architecture, the community is dealt with a discussion of the place. While the sociological approach is about community discussion, the architectural approach deals with the concept of place.
In other words, humans interact with the community through places, and places are the means to gather people. In architecture, placeness can be defined as a concept in which a particular experience is related as a land or space where a certain act or event occurs and has a limited boundary.
We often hear claims that places in modern society are gradually being lost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lifestyle chang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existing placeness is not being lost, but that it still exists even today.

The correlation was examin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places,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mixed-use community facilities were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the placeness of modern meaning.
The elements of placeness in the modern sense were deriv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the prior study which derived the new placeness and the elements of the existing placeness. It was reinterpreted of "Spacio-temperal" with extensibility and complexity, "Mobility" with ambiguity and variability, and "polysemy" with personal, collective, and social elements of the commu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were re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 directions and considerations are presented as newly reorganized placeness factors rather than traditional placeness for planning mixed-use community facilities as a community spac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