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aduate

Graduation Exhibition

졸업전 작품

[실내건축학과 졸업설계] 장준현 | 공소공
  • 실내건축설계(5)
  • 작성일  2021-03-29
  • 조회수  3219

 

 

  

서론 공소공 프로젝트의 목표는, 건축적으로 도시 전반적인 대기오염을 줄이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건축에서는 에너지손실이나 재료비 등에 대한 측면을 고려해서, 건물 입면의 표면적은 작아졌다. 반면에 내가 영감을 얻은 세포나, 숯과 같은 자연에서 얻어진 것들은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 살아남기 위한 기능적인 진화(호흡, 물질교환 등의 극대화)로 극복하기 위해 표면적을 최대한 늘리는 방향을 택했다. 이러한 표면적 극대화를 건물의 흡기와 배기시스템으로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극대화 하고자 한다. 

한편으론, 공기정화타워와 같은 건축적인 시도들이 나타났지만, 타워의 정화 범위와 규모에 비해 사람이 쓸 수 있는 내부공간의 부재에서 한계점이 드러난다. 따라서 공소공 프로젝트에서 표면적을 극대화 한 프로토타입과 그 내부 이용가능성을 보여준다면, 이러한 유형의 건물이 도시 전역에 확산되고, 결과적으로 도시의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MASS DESIGN

Menger Sponge는 단계를 거듭할수록 표면적은 늘어나고 부피는 감소하는 입체 Fractal 도형이다. Menger Sponge를 매스로 적용하여 부피가 감소하면서 생기는 빈 공간들을 공기정화 시스템과 건축적인 내부 공간으로 이용한다면, 공기정화 효율이 극대화 될 수록 내부공간이 생겨나게 된다. 5단계 레벨의 Menger Sponge를, 1단계부터 3단계까지 생겨나는 빈 공간을 내부공간으로 정의하고, 4단계부턴 5단계 까지의 빈 공간을 공기정화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PROGRAM

Menger Sponge의 매스는 파편화 된 현대인의 모습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나는 현대인들의 개인주의적 모습을 Lifestyle의 변화로 인한 하나의 Trend로 인정한다. 오히려 너무도 많은 공유공간들은 현대인들의 선택적인 상호작용을 방해하고, 강제적인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점에서 조금은 가식적인 공간이라고 느껴졌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내부공간의 프로그램을 정의했다.



Level3 : One-person Household 사람이 이용 할 수 있는 내부 공간 중 가장 최소 모듈인 3단계 Menger Sponge 공간을 1인 주거로 설정했다. 공소공 이라는 프로토타입의 내부공간을 가장 기본적인 건축인 ‘주거’ 형태부터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Level2 : Core, Circulation, Amenity Menger Sponge 2단계 공간은 건물의 전체적인 동선을 위한 코어이며 Residents를 위한 Amenity시설로 설정했다. 동선은 Residents 동선과 Visitors 동선으로 나누어진다.



Level1 : Selective interaction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공간을 ‘공유’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대기오염으로 인한 야외활동의 부족이 더 문제점이라고 생각했고,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공기정화 시스템을 거친 공기는 주변 공기의 질을 계속해서 향상시키고 야외활동을 가능하게 한다.